728x90
문자열을 특정 길이로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들에 대해 비교 정리해보겠다.
1. zfill
- zfill(zero fill) 메소드는 문자열의 길이를 지정된 길이(width)로 맞추고, 그 길이보다 짧은 경우 문자열의 왼쪽을 0으로 채운다.
- 숫자 문자열의 자리수를 맞출 때 주로 사용되며, 부호가 있는 숫자의 경우 부호 뒤에 0이 추가된다 (예제2).
- 만약 원본 string이 width보다 넓은 경우, 본래의 string이 리턴된다 (예제 4).
사용법: str.zfill(width)
print("42".zfill(5)) # '00042'
print("-42".zfill(5)) # '-0042'
print("abc".zfill(5)) # '00abc'
print("424242".zfill(5)) # '424242'
2. rjust
- rjust 메소드는 문자열을 오른쪽으로 정렬하고, 지정된 길이보다 짧은 경우 왼쪽을 지정된 문자로 채운다.
- 기본적으로 공백 문자로 채워지지만(예제1), fillchar 옵션을 사용하여 다른 문자로 채울 수 있다(예제2,3).
사용법: str.rjust(width[, fillchar=' '])
print("42".rjust(5)) # ' 42'
print("42".rjust(5, '0')) # '00042'
print("abc".rjust(5, '#')) # '##abc'
print("424242".rjust(5, '0')) # '424242'
3. ljust
- ljust 메소드는 문자열을 왼쪽으로 정렬하고, 지정된 길이보다 짧은 경우 오른쪽을 지정된 문자로 채운다.
- 기본적으로 공백 문자로 채워지지만(예제1), fillchar 옵션을 사용하여 다른 문자로 채울 수 있다(예제2,3).
사용법: str.ljust(width[, fillchar=' '])
print("42".ljust(5)) # '42 '
print("42".ljust(5, '0')) # '42000'
print("abc".ljust(5, '#')) # 'abc##'
print("424242".ljust(5, '0')) # '424242'
728x90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mos 알고리즘 (0) | 2024.07.02 |
---|---|
[Python] 누적합에 활용되는 accumulate (0) | 2024.07.02 |